시사/경제

노후 준비, 언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miblog99 2025. 3. 25. 21:17

 

우리는 매일 돈을 쓰고, 돈을 벌고, 돈을 고민하며 살아갑니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돈을 잘 다루는 법'은 학교에서도, 회사에서도 잘 가르쳐주지 않죠.
저 역시 그랬습니다.
월급은 들어오는데 남는 건 없고, 카드값에 허덕이고, 통장은 항상 제로에 가까운 숫자만 반복되더라고요.

그러던 어느 날, 문득 생각했어요.
"이대로 살아도 괜찮을까?"
"혹시 나, 돈에 끌려다니며 살고 있는 건 아닐까?"

 

 

그때부터 하나씩 바꿔보기 시작했어요.
처음에는 하루 3분 가계부 쓰기부터 시작했어요.
아주 간단히, 뭘 샀는지, 왜 샀는지, 기분은 어땠는지 적었죠.
처음엔 귀찮았지만, 몇 주 지나자 내가 어디에 돈을 흘리고 있었는지가 보이기 시작했어요.

그다음은 고정지출 다이어트.
안 쓰는 구독 서비스를 정리하고, 자동이체 내역을 재정비했어요.
결국 이 모든 변화의 시작은 ‘나를 돌아보는 시간’에서 비롯되더라고요.

 

1. 은퇴 자금 목표부터 세워야 합니다

은퇴 준비의 핵심은 "얼마가 필요한가?"입니다.
한국의 평균 기대수명은 83세, 은퇴 시점은 대체로 60세 전후입니다.
즉, 20년 이상을 소득 없이 살아야 한다는 뜻이죠.

예를 들어, 매월 200만 원이 필요하다고 가정하면
200만 원 × 12개월 × 20년 = 4억 8천만 원이 필요합니다.
물가 상승률까지 고려하면 더 많은 금액이 필요하겠죠.

 

2. 저축은 습관이자 시스템입니다

노후 준비는 단기 스프린트가 아닌 장기 마라톤입니다.
따라서 자동이체 기반의 저축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추천하는 방법은 ‘목적별 계좌 분리’입니다:

  • 생활비 통장
  • 비상금 통장 (6개월치 생활비)
  • 은퇴 준비 통장
  • 투자 전용 통장

이렇게 나누면 지출 통제도 쉬워지고, 돈의 흐름이 한눈에 보이게 됩니다.

3. 재테크는 안정성과 수익률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단순 저축만으로는 물가 상승을 따라가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반드시 필요한 것이 ‘재테크’입니다.
하지만 무턱대고 주식이나 코인을 시작하는 건 위험하죠.

초보자를 위한 추천 재테크 루트는:

  • 은행 정기적금 → 습관 만들기
  • ISA 계좌 개설 → 절세형 투자
  • ETF 분산 투자 → 안정적 수익 추구
  • 연금저축/IRP → 세액공제 + 노후 대비

핵심은 **‘모르겠으면 안 하는 게 아니라, 작은 돈으로 연습해보는 것’**입니다.

4. 투자는 곧 '노후 리스크 관리'입니다

많은 분들이 투자를 '부자 되기 위한 수단'으로만 보지만,
사실 투자는 노후 리스크를 줄이는 가장 현실적인 도구입니다.
오래 살수록 필요한 자금이 많아지고, 인플레이션은 자산의 가치를 갉아먹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젊을 때부터 시간과 복리의 힘을 이용해 투자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 마무리하며

노후 준비는 갑자기 찾아오는 게 아니라, 매일의 선택이 쌓여서 완성되는 삶의 구조입니다.
이 블로그는 앞으로

  • 월급으로 은퇴 준비하는 방법
  • 현실적인 저축률 설정법
  • 재테크 초보가 피해야 할 실수
  • 30~40대 은퇴 플랜 설계
    같은 주제를 중심으로 실용적인 정보를 나눌 예정입니다.

오늘 이 글을 읽으셨다면, 지금이 바로 노후 준비를 시작하기 가장 좋은 순간입니다.
이 여정이 부담이 아니라, 안심이 되는 과정이 되기를 바랍니다 :)